1.조건문 if 문
1)if(조건){
조건의 결과가 참일 때 실행할 문장들
}
2)if(조건){
조건의 결과가 참일 때 실행할 문장들
}else{
조건의 결과가 거짓일 때 실행할 문장들
}
3)if(조건){
조건의 결과가 참일 때 실행할 문장들
}else if(조건){
조건의 결과가 참일 때 실행할 문장들
}else if(조건){
…
}else{
위의 조건들이 모두 만족하지 않을 때 실행할 문장들
// {}를 기준으로 지역변수처리 되어, 한정적으로 사용한다
// 변수는 마지막의 하나의 값만 저장한다.
코딩을 하기전에, 그림을 그려본다.
공통된것이 2번이상 반복된다면, 빼놓자.
//숫자를 직접입력하기보다는, 변수로 지정하는게 좋다.
2)switch문
swicth(변수){
case 값1:
실행문장
break;
case 값2:
실행문장
break;
case 값3:
실행문장
break;
…
default:
실행문장
}
//break를 쓰지 않을 경우 case 값2에 break를 제거한다면, 그밑에 있는 case 값3도 실행한다.
//버전 업되서 swicth문 사용법 break랑 세미콜론 없애고 화살표로, 사용한다.(자세한내용검색)
—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클래스 ㅣ 스택 ㅣ 힙(객체)
붕어빵틀 지역변수 (JVM이 관리영역)
참조변수는
num = scan.next() scan 가르키는곳의 문자열을 num에 담아라라는 뜻.
—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math를 이용한 랜덤다이스
▣Math.random()
-랜덤이란 , 난수를 발생시킨다.
math.random을 사용하면, 0.0이상 1.0미만 범위의 실수 값(double)을 발생
즉 범위가 0.0<= 랜덤으로 발생할 값 < 1.0
-정수로 값을 출력하려면
(int)Math.random()
-값을 범위를 변경
(int)(Math.random() * 출력하려는 범위) + 시작 값
(int)(Math.random() * 6) => 0,1,2,3,4,5 중 하나의 숫자
(int)(Math.random() *6) + 1 => 1,2,3,4,5,6 => 6개 숫자 중 하나
—----------------------------
'1. JAVA > 3). 자바_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_개념_Day_08 (0) | 2024.01.10 |
---|---|
자바_개념_Day_07 (0) | 2024.01.09 |
자바_개념_Day_05 (1) | 2024.01.05 |
자바_개념_Day_04 (1) | 2024.01.05 |
자바_개념_Day_03 (1) | 2024.01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