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_개념_Day_03_02
●
#사용자만들기
비밀번호 : 123456789
이름 : 엔터
방 번호 : 엔터
직장 번호번호 : 엔터
기타 : 엔터
y 엔터
# tail /etc/passwd ( 끝에서부터 파일들의 암호를 보여줍니다.(기본10개보여줍니다.))
#결과
#5개 보여주기.
#결과
암호설정시 : 영단어 사전에 있는 것을 지정할수가 없습니다.
# tail -5 /etc/group - 그룹화된 사용자확인
# 사용자 지우기(그래서 userdel 보단 userdel -r을 붙여서 디렉토리까지 지웁니다.)
사용자를 지우지만, 홈디렉토리가 남아있습니다.
#그룹
#결과
1001 :아이디 미지정
3333 :아이디 지정
#그룹화됨 삭제
#결과
●4
파일 유형
#
-(마이너스) 파일
d : 폴더
#3칸씩 나눠진다.
그룹/기타
숫자는 링크수
root : 소유자 이름
root : 소유자그룹
4096 : 용량
4월 19 15:14 마지막변경날짜
test1 : 파일명 또는 디렉토리명
b가 올수있따. 블록 디바이스를 의미(저장장치)
C: 입출력장치를 의미(마우스,프린터,키보드)
l : 링크(어디선가 연결해왔습니다,바로가기등등)
#
r : read, 읽기 권한, 4
w : write, 쓰기 권한, 2
x : execute, 실행 권한, 1
+:권한을 허가
-:권한을 제거
rwx: 읽기, 쓰기, 실행, 권한 모두, 7
rw- : 읽기, 쓰기 권한만있고 실행권한은 없음, 6
r– : 읽기 권한만, 4
–x : 실행권한만, 1
-wx : 쓰기와 실행권한만, 3
r-x : 읽기권한, 실행권한
1: x(실행권한)
2: w(실행권한)
3: wx(쓰기권한, 실행권한)
4: r(읽기권한)
5: rx(읽기권한,실행권한)
6: rw-(읽기권한, 쓰기권한)
7: rwx(읽기권한, 쓰기권한, 실행권한)
#권한주기(chmod o+w a.txt)
#권한회수(chmod u-x a.txt)
●5
# ls -l /dev | less
c : "c"는 문자(character) 장치 파일을 나타냅니다. Character 장치 파일은 특별한 종류의 파일로, 텍스트 문자가 스트림으로 입출력되는 장치를 나타냅니다. (마우스,키보드,프린트)
b : 디스크장치
l : 링크
#결과
#허가 거부
#사용자누구인가(whoami)
#배치파일? 명령어 입력하고,실행시키기(./b.txt)
(명령어를 미리 기록해두고 실행할 것)
#계정생성(adduser user1, adduser user2) , 계정들어가기(su - user2, su - user1)
●6
#
chomd u-x a.txt
u : ugo(user,group,other)
+:권한 추가
-: 권한 제거
x : r(read)w(write)x(execute)
#전부 권한 부여 (chmod 444 a.txt) 읽기권한 전부부여 ㅡ 따로줄려면 u+r
즉 2가지 방법(일괄 적용, 개별적용)
chmod 764 a.txt
chmod u+x a.txt
권한 : 읽고 쓰고 실행에 대한 권한
#그룹만들기( 사용자를 만들기전에, 그룹을 만들어야 좋습니다.) ㅡ groupadd gtest1
#( tail -5 /etc/passwd)
참고: etc"는 "et cetera"의 약어로, 시스템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파일이나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렉토리를 가리킵니다. "passwd"는 사용자 계정 정보가 저장된 파일의 이름입니다.
#그룹보고싶다면( tail -5 /etc/group)
#
응용프로그램 : 우분투, 지금 사용하는 것
쉘 : 명령해석기(번역)
커널 : 가장 큰 핵심(엔진같은 것) ㅡ
h/w :
#쉘은 번역해주고 그것을 받은 커널을 받아서 실행하고 h/w와 소통합니다.
msdos : comandcom과 같은게 shell이다
#
소유권
cron : 대모프로그램, 특정작업 (분 시 일 월 요일 사용자 실행명령)
ㅡ 이런식으로 처리하는게크론
분/시/일/월
5/3/*/* = 매월 매일 3시5분에 실행해라 라는 뜻
#표현
분 : 0~59
시 : 0~23
일 : 1~31
월 : 1~12
요일 : 0~6
●7
●8
-rw-r–r– 1 root root 22 4월 22 12:10 a.tx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