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JAVA/3). 자바_개념

자바_개념_Day_11

구이제이 2024. 1. 15. 18:23

ㅡㅡㅡㅡㅡ

목차



1)배열




2)최소값과 최대값

 

//max = Integer.MIN_VALUE; //정수 타입의 최소값

//또다른방법 //max = Math.max(max, score[i]);

 

//min = Integer.MAX_VALUE; //정수 타입의 최대값

//또다른방법 //min = Math.min(min, score[i]);



3)신박한 예제_



int에서 String 으로 tmp =Integer.toString(score01[i]);

String에서 int로 

 

4)//for문 사용

for(int i = 0; i<arr.length; i++){

System.out.println(arr[i])

}

 

//향상된 for문 사용

for(int num : arr){

System.out.println(num + “ “ )

}

System.out.println();



ㅡㅡㅡㅡㅡ
















배열에 동일한 자료형만 저장하기 떄문에, 여러 자료형을 저장하고 싶은 클래스라는 것이 생겨났다고 봐라

 

컴퓨터 용량 단위

1bit(비트) : 1,0(2진수)중 한 정보를 저장한다.

크기(1byte = 8bit) ex)

 

byte = 1byte

char = 1byte

short = 2byte

int = 4byte

long = 8byte

float = 4byte

double = 8byte




배열을 생성한다면,

메모리 공간 확보해야되는데, 연속된 공간이 남아있을수도 있지 않을수도 있다.

그래서

배열이 한번 생성되면, 뒤에 추가하기가 어렵다. 그래서 나온게

컬렉션프레임워크 = 어레이리스트가 나왔다.



배열생성시 크기를 알려줘야된다. 그래서 자료타입을 선언한다.

 

new를 보면 힙에다가 공간을 확보한다. 

 

1.int a = 3; >>> 스택에 바로 값을 입력한다.

2.int[] a = new int[3]; >>> 힙영역에 값을 입력한다. 스택영역에는 주소를 담고 있다.

 

힙: 비어잇는거 완성되지 않으면 올릴수가 없는 공간

JVM이 0으로 초기화를 시킨다.

 

실체:힙, 주소:스택

 

ex)

str.nextLine();

클래스는 (.) 점을 찍어서 찾아간다.

 

변수를 선언해놓고 변수 값을 입력을 안한다면 , 널포인트 인셉션이 생긴다.

 

메인은 책의 목차와 같다.

반복되는 것을 메소드로 뺀다.

 

2.자리값구하기, 최대값 최소값 구하기.

 

ㅡㅡㅡ

다른사람 코드보고, 주석달고 흉내내고, 반복해서, 코딩을 따라해보는 것이 실력향상에 도움이 많이 된다. 

 

for , if, 배열, 컬렉션

 

1.시간이 지나도 ‘설계도 ‘ 를 보고  로직을 기억한다. 

2.클래스다이어리

3.초보자는 의뢰한 것만, 해결해주고, 조금더 숙련되면 권장을 한다.



if만으로도 괜찮은 경우인데, 낭비적으로, if-else도 습관적으로 쓰는 경우





◐ 향상된 for문

배열 또는 컬렉션과






int[] arr = new int[] {10,20,30};

 

//for문 사용

for(int i = 0; i<arr.length; i++){

System.out.println(arr[i])

}

 

//향상된 for문 사용

for(int num : arr){

System.out.println(num)

}

 

//Arrays.toString() 이용 출력

System.out.println(Arrays.toString(arr)













ㅡㅡㅡ

 

자료구조 알고리즘알아보기 - 최소값과 최대값

 

사이트 kmooc

 

---

주석 많이달기

시스템적으로 적게 돌게하기.(부하가 걸리지않게)

 

'1. JAVA > 3). 자바_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자바_개념_Day_13  (0) 2024.01.17
자바_개념_Day_12  (0) 2024.01.16
자바_개념_Day_10  (0) 2024.01.12
자바_개념_Day_09  (0) 2024.01.11
자바_개념_Day_08  (0) 2024.01.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