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.네트워크

네트워크_Day_02

구이제이 2024. 5. 9. 12:40

ㅡㅡㅡ



네트워크 7계층



ㅡ 피시컬레이어 : 허브 리피터

 

ㅡ 데이터린크레이어 : 주소, MAC주소

0101자료를 주소 체계를 넣어줍니다.

 

ㅡ 네트워크레이어  : 논리적주소

이더넷,렌카드, 네트워크어댑터, 

네트워크와호스트로 나뉜다.

 

네트워크 : 라우터(최적의목적지를 찾아 보내줍니다. 패킷을 전송)



ㅡ트랜스포트계층

TCP/UDP

오류나 그런것 점검해줍니다.

정상인지

데이터전송할떄, 패킷 + 시퀀스 + 에크번호 추가해서 보냅니다. 데이터를 분산해서 보내다보니, 보안적으로 유리합니다.

 

ㅡsessionlayer

응용프로그램 연결해주는 역할

끊어주는 역할



ㅡpresentationlayer

번역기 역할



ㅡ어플리케이션(FTP,HTTP,TELNET)

사용자입출력역할

 

보내는과정 - 인켑슐

받는과정  - 디켑슐



LAN : 근거리통신망(건물,로컬에이리어네트워크)

MAN :  

WAN : 인터넷

 

LAN과 WAN의 차이 

 

전송하다보면, 속도가 느려집니다.(먼거리로 갈수록, 감쇠하는 현상)

그것을 증폭시켜주는것이 리피터라고 합니다.

 

 

vpn

 

IPAddress

IANA 

 

인터넷체계주소가 잡혀져있습니다.

 

IS 업체들한테 

 

유동IP = DHCP(접속할때마다 바뀝니다.)



더미허브의단점 : 하나로보내는 것 아니라, 연결되있는 모든로드한테 보냅니다.

 

더미허브의단점을 보완한, 스위칭허브

ㅡ게이트웨이,서브넷마스터, 방어벽

 

스위칭허브, 더미허브(1계층)의 차이점

스위칭허브 : 에러제어?

 

라우터,

 

ㅡ로드밸런스(4계층)

포트주소를 내보낸다.

 

ip를 변경해서, 보내주는 역할

 

#

모뎀 : 근거리통신망에서 사용합니다. (전화선을 타고갑니다. 0101 > 소리를 바꿉니다.)

모뎀 : 아날로그  > 디지털 > 아날로그 > 디지털 이라는것을 반복

 

#

유니케스트(출발지 목적지 1:1통신)

브로드케스트(1대다, 목적지가 여러곳을 전송) - 통신을 하기전에 ㅡ 동일네트워크

로컬

멀티케스트(1대다, 특별한 목적) ㅡ 그룹네트워크

ex)사내방송, 증권시세, 

애니케스트(1:1 동일그룹네트워크)



MAC - 물리적주소(제조사코드?)

 

#

IP(아이아나)

IP주소 : 논리적인 주소.

3계층



ipv4(32bit) 

ipv6(128bit) > 16개형식?



네트워크주소,호스트주소

 

192.168.1.0

8비트/8비트/8비트/8비트/

0~255/0~255/0~255/0~255/

 

IP주소(논리적인 주소) - 장치를 식별하는 주소

IPAdress



#네트워크(묶는것) / host(컴퓨터) - 다트처리할때 필요하다.

A클래스 : 네, 호, 호 ,호 (앞부부분 하나만 네트워크)

B클래스 : 네, 네, 호, 호

C클래스 : 네, 네, 네, 호

D클래스 : 멀티캐스트

E클래스 : 실험용, 예약



구분자 : 서브넷마스터






'10.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네트워크_Day_01  (0) 2024.05.0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