●1.
#
리눅스 - 커널(우분투)
레드잇리눅스(방ㄴ
누구나 가져다가 재배포 가능
우분투-이름표
리눅스
리눅스의종류(우분투)
<Linux>
- x윈도우
- GUI를 리눅스에 제공
- 하나의 유틸리티일 뿐이날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님
- x윈도우를 사용하기 위한 Ubuntu Desktop 환경 - GNOME(그놈)
- 주의 사항
- 리눅스는 모든 명령어에서 “대소문자를 명확히 구분”
- 명령 프롬프트 # : root
- $ : 일반 사용자
- 일반 사용자가 관리자(root 사용자) 권한을 얻기
- suto 명령어를 실행한 후 ubuntu 사용자 암호를 입력한 후 처리
- 한칸$su한칸 -root
#우분투는 처음 사용자로 들어가니깐, root사용자로 바꾸어야 합니다.
처음에는 루트암호를 변경해줘야합니다.
- 시스템 종료
- 바탕화면 아이콘 - 컴퓨터 끄기/로그아웃 - 컴퓨터 끄기
- 터미널/콘솔에서 시스템 종료 명령 입력
- poweroff, shutdown -P now, halt -p, init 0
shutdown -h +5 -> 5분 후에 시스템 종료
- shutdown -P +10 -> 10분 후 종료(P -poweroff)
- 시스템 재부팅
-reboot, shutdown -r now, init 6
- shutdown -r 22:00 -> 오후 10시에 재부팅(r - reboot)
- shutdown -c -> 예약된 shutdown 취소(c-cancel)
- shutdown -k +10 -> 현재 접속한 사용자에게 10분 후에 종료된다는 메세지를 보내지만 실제로는 종료되지 않음
- 로그 아웃
-리눅스는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해서 사용하는 Multi-User 만약 관리자가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다고 시스템을 종료시켜 버리면 시스템에 접속된 많은 사용자는
작업 중에 컴퓨터가 종료되는 황당한 경험을 하게 될 것입니다.
-logout : 시스템의 종료와 의미가 다름
현재 사용자의 시스템 접속을 끝낸다는 의미이지 시스템을
종료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.
-exit : 콘솔 모드에서 종료
- 기본 명령어
ls : list 목록 보기
ls -l : 자세히 보기
ls - a : 숨김목록 보기
ls -al : 숨김목록까지 자세히 보기
ㅡclear : 현재 화면 지우기
위/아래 화살표 : 기존에 입력한 내용 보기
첫 글자 또는 몇 단어 쓰고 + tab : 자동 완성
ㅡhistory : 지금까지 사용한 명령어를 볼 수 있음
ㅡhistory -c : 히스토리 삭제
ㅡpwd :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디렉토리의 전체 경로를 화면에 보여줌
ㅡcd : Change Directory , 디렉토리를 이동
cd abc
cd abc/test1
cd .. : 상위 단계로 이동
cd ~ : home 디렉토리로 이동
ㅡrm : ReMove의 약자,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
삭제할 때는 현재 사용자가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할 권한이
있어야 합니다.
root 사용자는 모든 권한이 있으므로 이 명령어 사용에 제약 없음
주의) 리눅스는 윈도우처럼 휴지통 개념을 잘 사용하지 않으므로
삭제한 파일이나 폴더를 복구하기가 상당히 어려움.
ㅡmv : Move,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다른 디렉토리로 옮길 때
사용
mv 이동하고 싶은 파일명, 확장자 또는 디렉토리명 이동해 놓을 디렉토리명
ex) mv aa.txt bcd
ㅡmkdir : Make Directory,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, 생성된 디렉토리는 명령을 실행한 사용자의 소유가 됨
ㅡrmdir : ReMove Directory, 디렉터리를 삭제, 해당 디렉토리를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이 있어야 하며, 디렉터리는 비어 있어야 합니다.
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토리를 삭제하려면 ‘rm -r’을 실행해야 함
ex) rmdir test1
ㅡcat : conCatenate, 파일 내용을 화면에 보여줌, 여러 개의 파일을 나열하면 파일을 연결해서 보여줌
ex)
cat abc.txt
cat aa.txt abc.txt
ㅡcp : copy 파일이나 driectory를 복사
새로 복사한 파일은 복사한 사용자의 소유가 됨
명령을 실행하는 사용자는 해당 파일의 읽기 권한이 필요
- 가상 콘솔
- 가상의 모니터
- 우분트는 총 6개(2번 ~ 7번)의 가상 콘솔을 제공
- x윈도우가 가동된 화면은 2번째,
- x윈도우 창 : Ctrl + Alt + F2
- 가상 콘솔로 이동 : Ctrl + Alt + F2 ~ F7(1초 동안 꾹 누름)
ex) 3~7 (2번은 x윈도우)
- 자동 완성 기능
기존의 디렉토리(abc) 있는 경우
- 탭
기존의 test1 있는 경우
- 탭
10. vi 편집기
- i : 현재 커서의 위치부터 입력
- a : 현재 커서의 위치 다음 칸부터 입력
- I : 현재 커서 줄의 맨 앞에서부터 입력
- A : 현재 커서 줄의 맨 마지막부터 입력
- 줄에 번호 부여하기
Esc -> : -> set number
- 글자를 쓰려면 : i
- 기능 : ESC
gg - 첫 행으로 이동
G - 제일 끝 행으로 이동
숫자G - 해당 숫자의 행으로 이동
: 숫자 Enter : 해당 숫자의 행으로 이동
x - 현재 커서가 위치한 글자 삭제
x - 현재 커서가 위치한 앞 글자 삭제
dd - 현재 커서의 행 삭제
숫자dd : 현재 커서부터 숫자만큼의 행 삭제
yy - 현재 커서가 있는 행을 복사
숫자yy - 현재 커서부터 숫자만큼의 행을 복사
p - 복사한 내용을 현재 행 이후에 붙여넣기
P - 복사한 내용을 현재 행 이전에 붙여넣기
/문자열Enter : 해당 문자열을 찾음
:w - 저장
:q - 저장하지 않고 종료
:wq - 저장하고 종료
:! - 취소
:w! - 지금 저장하는것을 취소할 경우
:q! - 기존에 변경된 내용은 무시하고 종료
h : 왼쪽
j : 아래
k : 위
l : 오른쪽
●2
#도커 - 명령어
#쿠버네티스 - 명령어
#루트화면으로 이동하는 법
#server라는 곳에서만 암호를 주었기 댸문에 오류가나는 경우(root라는 설정을 안해주었습니다.) >>> 처음 사용시는 root암호를 설정해줘야 합니다.
#처음 사용시는 root 암호를 설정해줘야합니다.(sudo passwd root)
sudo passwd root (처음들어갈때 설정)
새암호 (리눅스는 암호가 안보입니다.) - 기존 server암호 123456789입력
#이후 변경될 암호 :123456789 (두번 입력하면 업데이트 됩니다.)
#
권한, 파일,이름 보여줍니다.(기본 형식)
#
권한, 파일,이름 보여줍니다.(리스트형식)
#
숨겨진 것까지보여짐
#
방향키(위아래)누르면 (이전에 입력했던 명령어 나옵니다)
#history : 지금까지 입력했던 명령어들을 보여줍니다.
#history -c(히스토리 지우기)
●3
#셧다운ㅡ H 1분뒤작업(h는 경고메시지도 가지만, 실제 종료됩니다.)
#셧다운ㅡ K (정리하고 저장하라는 경고메세지만 갑니다.)
#셧다운 취소 ㅡC(shutdown -c)
#reboot(재부팅)
#
# init 6(재부팅 , 숫자6은 넌레벨?)
#나혼자만 로그아웃 시키겠다.(logout)
#현재 작업 디렉토리 보기(pwd)
#mkdir abc 디렉토리 생성(루트가 만든 것의 차이?
# cd abc로 이동 (cd abc)
#부모로 다시이동 (cd ..)
#디렉토리 삭제(rmdir test1)
#홈으로 가고싶을때 ( cd ~)
#내가 어느디렉토리인지 알고 싶은 경우(pwd)
'9.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inux_개념_Day_04 (0) | 2024.04.23 |
---|---|
Linux_개념_Day_03_02 (0) | 2024.04.22 |
Linux_개념_Day_03_01 (0) | 2024.04.22 |
Linux_개념_Day_02_02 (0) | 2024.04.19 |
Linux_설치_Day_01 (0) | 2024.04.18 |